Tuesday, February 22, 2011

부럼 깨기

어릴 때, 손 꼽아 기다렸던 날 중에 한 날이 정월 대 보름이었다.
그 날은 내가 좋아하던 약식을 맘껏 먹을 수 있던 날이라 설이 지나면서부터 기다렸었는데,
정확한 날짜를 알고 기다리던 것이 아니고 찹쌀을 물에 담그고, 마른 나물들이 광에서 나와 있으면 그 날이구나 하며 기다렸었다.
할머니가 돌아 가시기 전까지 정월 보름날은 우리 집에서 꼭 지켜졌던 명절이었다.
이른 새벽 어둠 컴컴할 때, 할머니는 아직 자고 있는 손자 손녀들을 깨워 남보다 먼저호두와 깨금(개암), 밤을 어금니로 꽉 물어 ‘딱’ 소리가 나도록 깨라고 하셨다.
그리고 ‘부럼이요’를 크게 외치면 할머니는 모든 잡귀는 물러가고, 올해 부스럼이나 종기 나지 않고 튼튼한 이(치아)로 한해 건강 하라는 축복을 하며, 차가운 술(정종)을 한 모금씩 마시게 한 후 세상의 좋은 소리만 들으라고 귀를 비벼 주셨다.
새벽부터 마신 찬 술로 얼얼해서는 대문 앞에 서서, 내 더위 사가라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소리를 치고 하루를 시작 했다. 저녁에 잘 먹을 거라며 간단하게 아침 식사를 한 후에는 복 조리를 방마다 걸어 놓게 하셨고 내 더위 사간 사람에게는 부채를 갖다 주라고도 하셨다.
엄마는 하루 종일 음식 하느라 바쁘고, 점심 건너 뛰고, 많은 종류의 나물만 한 상 차려진 이른 저녁을 약식과 오곡 밥으로 먹고, 대문을 활짝 열어 어두워지기 전 집안 곳곳에 등잔 불을 켜 놓은 후 부뚜막에는 음식들을 담아 덮어 놓고(밤에 누군가가 와서 가져 가도록), 설에 날렸던 연에 붓글씨로 무어라고 쓴 후 달이 뜨기 전, 동네 큰 다리로 데리고 나가 올 한해 소원을 빌라 하며 연을 날려 보내 셨다.
그리고 우리는 다리를 몇 번씩 왔다 갔다 했다. 한해 동안 다리 아프지 말게 해달라고 빌면서.
사실 다리 위를 걸으면서 우리들의 관심은 둑방에서 하는 쥐불 놀이이었다.
깨진 두레박에 못 구멍을 숭숭 내거나, 솜을 넣어 짚으로 단단하게 뭉쳐 둥글게 만든 것에 송진을 발라서 불을 붙여 돌리며 동네 별로 시합을 하기도 했었다.

이번 주 대보름에 대해 수업을 했다.
대보름의 유래부터 음식, 놀이까지 설명을 해주고 준비해간 부럼 재료로 부럼 깨기를 했다.
귀밝이 술의 의미를 설명 하며 식혜로 대신 했고, 다리 밟기는 학교 주차장에서 대신 하며
할머니가 우리에게 해 주셨던 것처럼 학생 한 아이씩에게 똑같이 해주었다.
더위 팔기와 종이 접기로 부채를 만들어 선물을 하기도 하고 달에 관한 동요 몇 가지를 부르고 아리랑까지 배워 불렀다.
그런데, 한 학생이 수업 시간 내내 못 마땅한 듯, 아니면 흥미가 없는 듯 유독 눈에 띄었다.
이유인즉 크리스천 이기 때문이란다.
대략난감(大略難堪), 우리 말 어법에 어긋나는 말이지만 가장 적절한 표현으로 이 단어가 떠올랐다.
세대가 바뀌고 시대가 변하여 고국의 풍속을 꼭 지키자는 것이 아니라 모국을 알기 위해 배우고 경험하는 것인데, 이렇게 까지 어린 학생이 말하리라고는 전혀 예상치 못 했기에 몹시 당황했다.
한 나라의 고유 풍속이 문화와 역사로 이어지는 것이 분명한데, 왜 우리들은 전통 풍속을 종교와 연관 지으며 배우기 조차 거부 하는 것일까!
가정이 핵가족화 되고, 부부 모두 직장 생활을 하다 보니 작은 명절들을 그냥 지나치거나, 잊고 있는 것일 텐데, 굳이 이유를 들어 배우기를 거부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의 전통 풍습에 대해 가정에서 보고 들을 기회가 없었기 때문은 아닐까?
가끔은 가정에서 부모들이 경험한 명절 이야기를 자녀들에게 들려 주어 모국을 배우는데 거부감 없이 받아 들이고, 학교에서 하는 행사에도 함께 참석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ursday, January 27, 2011

일기가성 (一氣呵成)

「선생님~, 오늘은 와꺼야? 」
교무실 앞을 지나던 노엘이 선생님과 눈이 마주치자 달려와 안기며 한 인사다.
지난 주, 플로리다 지역 협의회 교사 연수회에 북 가주 협의회에서 편찬한 역사 문화 교재 강사로 참석 하느라 학교를 결근 했었는데, 2주 만에 만난 아이가 이렇게 반가움을 표했다.
플로리다에 다녀 왔다고 하니 반 학생들 모두 Sea World 에 다녀 온 줄 알고, 질문을 했다.
일일이 대답하다 보니 첫째 시간 수업은「말하기」 수업이 되고 말았다.

매 주 한 시간씩 역사 문화 교재로 수업을 하다 보니 학생들은 일반 수업 시간보다 역사 문화 시간을 더 기다리고 더 흥미 있어 하고, 더 진지하게 공부에 몰두 한다.
오늘은 한국의 고유 명절을 앞두고 한복에 대해 공부를 했다.
한복의 명칭, 입는 순서, 고름 매는 방법까지 공부한 후 종이 접기로 한복을 만들어 상황 극 놀이를 했다.
바지 저고리와 치마 저고리를 각각 만들어 플라스틱 스푼 뒷면을 이용해 머리와 얼굴의 표정을 그려 넣은 후 한 사람이 남녀 역할 모두 하며 한복에 대한 생각을 말하게 했다.
대부분 학생들은 쑥스러운 듯 아주 평범한 대화를 하는데 반면, 지난 여름 한국을 다녀 왔다는 신성이는 의외의 대화를 시도하였다.
「엄마, 한국학교에 한복 입고 가야 해」
「그래 입어」
「한국에서는 한복 공부 안 하는데 우리 학교는 공부해」
「한국은 설날 집에서 노는데 우리는 학교에서 한복 입고 놀아」
한국을 떠난 지 오래 되어 지금 한국의 교육 과정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잘 모르지만, 학생의 대화처럼 한국에서는 학교에 한복을 입고 가지 않았었고, 초등 학교 시절 한복에 대해 배우지 않았던 것 같고, 설날은 휴일이라 학교에 가지 않고 동네에서 어른들이 하는 민속 놀이를 구경 했던 것으로 기억 된다.
신성이는 한복 입고 학교에 오고, 학교에서 민속 놀이를 하는 것이 너무 좋다며, 무지개 한복 (색동 저고리)이 입고 싶다면서 저고리에 색칠을 해도 되느냐고 묻는다.
이렇게 가끔, 한국의 학생들보다 동포 2세 학생들이 한국의 문화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더 정확하게 역사를 알고 있기도 한다.
플로리다 주 협의회 강의에서 어느 교사 분의 말씀에 의하면 한국에서 온 지 얼마 되지 않은 중학생의 역사 상식이 동포 2세의 한국 학생보다 못해서 놀란 적이 있다고 하며, 한국에서는 한국사가 영수 과목에 밀려 대입 수능에서뿐만 아니라 공직 시험에서도 사라졌다고 안타까워 했다.
시애틀에서 만난 한 청년은 입양아로 미국에 와서 한국에 대해 아는 것은 많은 아이들을 입양 보내는 나라로만 알고 있었는데, 한국 학교에 다니면서 한국의 뿌리와 문화를 배워 한국을 더 알게 되었다고 했다.
지난 여름, 교재 소개 및 강의를 들었던 다른 나라의 교사들도 교과서 위주의 수업보다 문화와 역사를 동영상을 보면서 수업을 하니 시간 가는 줄 모른다고 가끔 메일을 보내 주곤 한다.

일기가성 (一氣呵成), 2011년 청와대가 신년 화두로 선정한 사자 성어다.
명 나라 때, 두보의 시를 읽은 평론가 호응린이 한숨에 써 내려간 느낌을 받는다는 표현으로「일기가성」이라 하였지만, 두보는 책 만권을 읽은 후에야 붓이 비로소 움직였다고 고백을 했는데, 이 사자성어를 북 가주에서 편찬한 한국 역사 문화 교재에 올리고 싶다.
「일을 단숨에 몰아쳐 해냄」이란 사전적 의미를 가진 일기가성의 이면에는 책 만권을 독파하는 준비와 노력, 끈기가 있어야 했고, 「좋은 기회가 주어졌을 때 일을 미루지 않고 이뤄낸다.」는 뜻을 또한 지닌 것처럼 미국 내에서, 한국 학교 내에서 절실하게 갈망하며 필요했던 사항들을 관망하지 않고 곧 시도하여, 세계 여러 나라, 미국 내 각주에서 한국 학교 교사들이 한숨에 써 내려간 느낌의 교재를 가지고 보다 쉽고 재미있게 수업할 수 있기까지 수고하신 최미영 회장님 이하 모든 분께 고마움을 전한다.

Wednesday, January 5, 2011

위대한 탄생

기쁜 하늘
내 엽븐 얼골
성경첵을 일그면
아이가
하난님을 만나다.

널븐 하늘
내 마음 해 마음
성경첵을 일그면
아이가
하난님에게로 안긴다.

숙제로 시 쓰기를 주었을 때 이제 막 고등 학생이 된 세훈이가 낸 작품이다.
아무리 읽어 봐도 고등학생의 생각으로 쓴 것 같지 않은 시 이지만, 세훈이의 얼굴을 보면 세훈이가 썼다고 믿어지는 깨끗하고 예쁜 시다.
이런 세훈이를 담임 한지도 벌써 6~7년이 지나 잊고 있었는데, 한국 지상 파 방송국에서 미주 지역을 순회하며 실시하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시청하다 설마 하는 참가자가 있어, 인터넷 다시 보기를 통해 확인한 결과 그 세훈이가 맞았다.
유난히 음악에 관심이 많아 기타를 치며 노래 부르기를 즐겨 하던 미소년 세훈이가 대학생이 되어 가수의 꿈을 이뤄 보고자 오디션에서 연주하며 열창하는 모습을 보니 대견스럽기 그지 없었다.

요즈음, 한국에서의 연예 활동을 꿈 꾸는 학생들이 부쩍 많아졌다.
특히 지난해 슈퍼스타 K를 통해 재미 동포 존 박이 본국에서 좋은 성적으로 연예계에 입문한 것이 한동안 화젯거리이더니,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었던 아이들은 물 만난 고기인양, 노래로 댄스로 랩으로 연주로 각자 지닌 재능으로 꿈을 향해 도전하고 싶어 한껏 들떠 있다.
그런데, 노래 말 쓴 것을 보여 주기도 하고, 발음이 어떤지 묻고, 댄스를 보여주는 아이들의 공통점은 부모님은 아직 모르고 있고, 알면 그 날로 끝이라며 전전긍긍이다.
시대가 많이 변하여 부모님들이 앞장서서 아이들의 재능을 키워 준다지만, 아직 연예계로의 입문은 아닌가 싶다.
얼마 전 대학 입학 원서를 작성할 때, 아버지가 목사님인 학생이 섹스폰 연주가가 정말 되고 싶은데, 무조건 UC 대학을 가란다고 하며, 하고 싶은 것을 했으면 좋겠는데 부모님이 자기 말을 안 들으면서, 자기가 부모님 말을 안 듣는다고 소리만 지른다는 하소연을 했다.
연말에 그 학생의 어머니와 만나게 되어 말씀을 나누다 노형건 목사님 아들인 프로그레스가 주도하는 힙합 그룹 Far East Movement에 대해 얘기를 하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도 “그래도 우리 애는” 하며 말꼬리를 흘려 더 이상의 진전은 없었다.


이렇게 재능과 끼가 있고, 하고 싶은 열망이 끓는 우리 학생들에게 무조건 안 된다, 못 한다 하지만 말고 한번쯤 아이와 진지하게 대화하며, 준비를 하다가 기회가 되었을 때 아이에게 추억을 만들어 주는 멋진 부모로 위대하게 탄생 되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하다.
세훈이의 노래를 심사하던 한 심사위원은 너무나 평범한 세훈이의 의상에 대해 질문을 했다.
엄마가 골라 준 셔츠를 입었다고 말하며, 가족에게 고마움을 전하던 세훈이.
이제 위대한 탄생의 일차 관문을 통과 했으니 끝까지 선전하여 위대한 탄생을 통해 위대한 탄생이 있기를 선생님도 응원한다.